메뉴 건너뛰기

김옥순 시인 홈페이지

좋은 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건반 위의 여자

                                    박선희

 

 

한때는 저 여자 물오른 나무였다 너른 숲이 앞마당이었고

그늘을 빠져 나온 햇살이 목덜미를 당기곤 했다 어느 날 새

소리 사라지고 지문으로 누운 여자 손끝이 젖어 있다 여자는

흙벽 선로 위에서 바다를 읽는다 한없이 떠밀리던 여자 건반

위로 일어선다 선로의 들숨날숨이 뜨거워진다

 

계단은 여자 앞에 완강하다 얼기설기 엮인 폐타이어 끝을

잡고 오른다 가끔은 난간을 잡고 쉬기도 하고 사내의 등을 빌

걷기도 한다 가파른 발끝에 각이 선다

 

입술 잠긴 흑백 건반 우당탕탕 파열음을 낸다

 

오후 4시 다시 시작하고 싶은 시간 숨소리로 일어서는 여자

접힌 길을 편다 요란하게 붉은 울음 쏟아 내며 단숨에 한 옥

타브를 뛰어오른다  

잠시 휘청거리던 여자

 

지문을 밟고 천천히 음계를 내려온다.

 

 

심사평

 

삶의 다양한 경험이 육하된 시

 

심사를 하면서 맨먼저 떠오른 생각은 시의 소재에 관한 것이었다. 그것은 얼마나

적절한 소재를 잡아 내는가 하는 것이고, 다음으로 그 소재를 어떠한 방법으로 얼마나 정확히 표현해 내는가 하는 문제라고 여겨진다. 물론 우리 생활 주변에 무엇이나 소재가 될 수 있고, 그 소재를 역량껏 써 내면 그만이라면 끝나는 것이겠지만, 여기에서 짚고 가야 할 것이 "감동" 이라는 표적이요, 그 답안 이란 것이다.

 

 이번에 응모작 중에서 심사위원이 우선 세 분의 시 가운데 3편을 골라 냈고, 그 중에서 당선작을 정했다. 그것은 배은희 님의 <딜리트 키 속으로 도망간 시>와 김득기 님의 <무거운 돌>,그리고 박선희 님의 <건반 위의 여자> 였다 배은희 님은 다섯 단f락으로 時作 과정의 묘미를 은유한 것이 좋게 돋보였으나, 결부에 이르도록 초점을 이루지 못한 점이 지적되었고, 김득기 님은 이미지 선택은 무난하였으나 그 이미지 연결이 보다 더 수월히 구성되지 못한 점이 아쉬웠다고 본다.

 당선작을 차지한 박선희 님은 피아노를 치는 손이 관통한 시적 인식은 범상하지가 않다.

평범한 대상에서 일상의 새로움을 발견해 내는 관촬력은 경이롭기까지 하다. 그것은 삶의 다양한 경험이 육하된 결과라고 보아진다.

 끝으로 이참에 당선되지 못한 여러분께 권유하고 싶은 말은 외롭게 꾸준히 전력 경주하기를 바란다는 것이다.

                                   심사위원 함동선 최은하

 

 

 

 resized_20140509_202605_1006936804[1].jpg


 




  1. No Image 03Sep
    by 들국화
    2014/09/03 by 들국화
    Views 541 

    몇 가지의 시작법: 안도현

  2. No Image 22Aug
    by 들국화
    2014/08/22 by 들국화
    Views 591 

    통영 / 백석

  3. No Image 19Aug
    by 들국화
    2014/08/19 by 들국화
    Views 417 

    똥구멍으로 시를 읽다 / 고영민

  4. No Image 07Aug
    by 들국화
    2014/08/07 by 들국화
    Views 437 

    시애틀 추장의 연설 / 안도현(가슴으로도 쓰고 손끝으로도 써라 240~246쪽에서)

  5. No Image 01Aug
    by 들국화
    2014/08/01 by 들국화
    Views 1082 

    난 꽃이라오/ 양성수

  6. 제 130회 월간문학 신인작품상 당선작, 시 부문, 건반 위의 여자/박선희 작품과 심사평

  7. No Image 05Jul
    by 들국화
    2014/07/05 by 들국화
    Views 1158 

    없는 것을 발명하지 말고 있는 것을 발견하라 / 안도현 시인의 시 창작 노트

  8. No Image 05Jul
    by 들국화
    2014/07/05 by 들국화
    Views 1633 

    좋은 시란? / 정민 (한양대 국문과 교수)

  9. No Image 13Jun
    by 들국화
    2014/06/13 by 들국화
    Views 581 

    자전自轉 / 류정환

  10. 윤중호 죽다 / 김사인

  11. No Image 01May
    by 들국화
    2014/05/01 by 들국화
    Views 1117 

    천개의 바람이 되어 / 임형주 (세월호 침몰 추모 시)

  12. No Image 22Apr
    by 들국화
    2014/04/22 by 들국화
    Views 553 

    歸天/ 천상병

  13. No Image 15Apr
    by 들국화
    2014/04/15 by 들국화
    Views 599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수호

  14. No Image 04Apr
    by 들국화
    2014/04/04 by 들국화
    Views 712 

    4월 비빔밥 / 박남수

  15. No Image 06Mar
    by 들국화
    2014/03/06 by 들국화
    Views 783 

    폐선廢船/ 강동수

  16. No Image 14Feb
    by 들국화
    2014/02/14 by 들국화
    Views 809 

    세 가지 질문

  17. No Image 11Feb
    by 들국화
    2014/02/11 by 들국화
    Views 943 

    쓴다는 것 / 이정록

  18. No Image 20Jan
    by 들국화
    2014/01/20 by 들국화
    Views 1409 

    안도현 / 그리운 여우

  19. No Image 16Jan
    by 들국화
    2014/01/16 by 들국화
    Views 1766 

    2013년 대한민국장애인문학상 대상 수상작품(운문부 대상 시)

  20. No Image 13Jan
    by 들국화
    2014/01/13 by 들국화
    Views 861 

    빈집 / 기형도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