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옥순 시인 홈페이지

좋은 글

조회 수 10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나에게 묻는다 / 이산하(1960~ )

꽃이 대충 피더냐.
이 세상에 대충 피는 꽃은 하나도 없다.
꽃이 소리 내며 피더냐.
이 세상에 시끄러운 꽃은 하나도 없다.
꽃이 어떻게 생겼더냐.
이 세상에 똑같은 꽃은 하나도 없다.
꽃이 모두 아름답더냐.
이 세상에 아프지 않은 꽃은 하나도 없다.
꽃이 언제 피고 지더냐.
이 세상의 꽃들은 모두
언제나 최초로 피고 최후로 진다.

.........................................................................................................................................................................................

    문답법은 일종의 화술이요수사학이다질문과 대답이 이어지면 그것은 일종의 담론이 된다이것은 공자라든가 소크라테스가 잘 보여준 바 있다질문과 대답의 이어짐을 우리는 철학이라고 부른다평범한 질문에 특별한 대답이 따라오면 그것은 깨달음이 된다왜 산에 사냐는 말에 그저 웃고 만다는 이백의 산중문답이 이에 해당한다뒤통수를 후려치는 현답을 우리는 시학이라고 부른다.

    시의 출발은 뭔가 물어보는 행위에서 비롯된다질문에 대해 남과 똑같은 대답을 답지 채우듯 쓰고 떠나는 사람은 시인이 아니다그런데 가끔 어떤 사람은 자기만의 대답을 생각하고대답을 꿈꾸고대답을 스스로 산다그러면서 서서히 진짜 시인이 되어간다.

    오늘의 시에는 모두 다섯 개의 질문과 다섯 개의 대답이 들어 있다질문은 엄한 선생님의 것 같고 대답은 배움을 구하려는 제자의 것 같다그러나 사실 한 사람이 묻고 대답했다정확히는 이산하 시인이 묻고 그의 평생이 대답했다질문에 달린 대답 하나하나가 모두 각오고 깨달음이다대충 피는 꽃은 없다는 대답은 사실을 진술하는 것이 아니다대견한 꽃을 함부로 해서 되겠느냐는 다짐이다세상에 똑같은 꽃은 하나도 없다는 대답 역시 마찬가지다모두 다르게 태어난 꽃이 하나하나 귀하다는 말이다전쟁이 끝나지 않았기에 이 시가 유감하지 않을 수 없다.


  나민애 (문학평론가



  1. No Image

    좋은 시란? / 정민 (한양대 국문과 교수)

    Date2022.06.28 By들국화 Views420
    Read More
  2. No Image

    소들어오던 날 / 박상조

    Date2022.06.20 By들국화 Views64
    Read More
  3. No Image

    나에게 묻는다 / 이산아

    Date2022.04.11 By들국화 Views106
    Read More
  4. 현충일 오후 / 김옥순 시

    Date2022.04.10 By들국화 Views41
    Read More
  5. No Image

    짬 / 박상조 詩

    Date2022.03.24 By들국화 Views112
    Read More
  6. 별 헤는 밤 / 윤동주 詩

    Date2022.03.24 By들국화 Views71
    Read More
  7. No Image

    발을 씻으며/황규관

    Date2022.01.17 By들국화 Views100
    Read More
  8. No Image

    당신의 빈자리 / 홍영수 시인 (2021 제7회 매일 시니어문학상' 당선작)

    Date2021.07.10 By들국화 Views206
    Read More
  9. 죽도 김형식 선생의 작품

    Date2021.06.24 By들국화 Views297
    Read More
  10. No Image

    흰둥이 생각/손택수

    Date2021.05.07 By들국화 Views1541
    Read More
  11. No Image

    계속 웃어라 / 임승유 (퍼온 글)

    Date2021.03.16 By들국화 Views627
    Read More
  12. 그 사람 / 권명옥 시

    Date2021.02.18 By들국화 Views80
    Read More
  13. No Image

    2020년 매일신문, 신춘문예 당선 시, [남쪽의 집 수리] 최선 시

    Date2020.10.10 By들국화 Views169
    Read More
  14. No Image

    소주병 / 공광규 시

    Date2020.06.04 By들국화 Views189
    Read More
  15. No Image

    개같은 가을이/최승자(박수호 시 창작 카페에서) 2, 누구를 통해 말하는가 ─화자와 퍼소나

    Date2019.11.29 By들국화 Views612
    Read More
  16. No Image

    기록사진 위로 떨어지는 것 /육호수 시

    Date2019.03.22 By들국화 Views312
    Read More
  17. No Image

    위안부 할머니를 위한 헌시 / 하린 시

    Date2019.03.22 By들국화 Views314
    Read More
  18. 김옥순 시인의 한 영 번역시 세 편, 대장동의 저물녘, 11월의 정류장, 늙은 풍차

    Date2019.02.11 By들국화 Views405
    Read More
  19. 감자의 이력 / 강동수 시 이병렬 교수가 읽음

    Date2019.02.11 By들국화 Views843
    Read More
  20. 디카시 - 시와 사진의 어울림― 김옥순 시집 <11월의 정류장> 이병렬 교수가 읽고 박수호 시인이 해설하다

    Date2019.01.05 By들국화 Views95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