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옥순 시인 홈페이지

자유게시판

2021.02.21 03:12

그날 / 이성복 시

조회 수 57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그날/이성복

 


그날 아버지는 일곱시 기차를 타고 금촌으로 떠났고

여동생은 아홉시에 학교로 갔다 그날 어머니의 낡은

다리는 퉁퉁 부어올랐고 나는 신문사로 가서 하루 종일

노닥거렸다 前方은 무사했고 세상은 완벽했다 없는 것이

없었다 그날 驛前에는 대낮부터 창녀들이 서성거렸고

몇 년 후에 창녀가 될 애들은 집일을 도우거나 어린

동생을 돌보았다 그날 아버지는 未收金 회수 관계로

사장과 다투었고 여동생은 愛人과 함께 음악회에 갔다

그날 퇴근길에 나는 부츠 신은 멋진 여자를 보았고

사람이 사람을 사랑하면 죽일 수도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그날 태연한 나무들 위로 날아오르는 것은 다 새가

아니었다 나는 보았다 잔디밭 잡초 뽑는 여인들이 자기

삶까지 솎아내는 것을, 집 허무는 사내들이 자기 하늘까지

무너뜨리는 것을 나는 보았다 새占 치는 노인과 便桶의

다정함을 그날 몇 건의 교통사고로 몇 사람이

죽었고 그날 市內 술집과 여관은 여전히 붐볐지만

아무도 그날의 신음 소리를 듣지 못했다

모두 병들었는데 아무도 아프지 않았다

 


<시 읽기>  그날/이성복

 

‘그날’은 잊을 수 없는, 아니 잊어서는 안 될 불망不忘의 날이다. 엄마 생신, 아버지 기일, 애들 생일...8.29, 3.1, 8.15, 6.25, 4.19, 5.16, 4.16... 아아 잊으랴, 어찌 우리 그날을……

그리고 그날, 아! 그날 4.16은 생때 같은 학생들이 바다에 빠져 허우적거리는 아우성을 눈뜨고 듣고서도 어찌하지 못하였던 가슴 아픈 일이 빚어진 날이었다.

 

그날은 또한 이름 없는, 무명無名의 날이기도 하다. 일상의 계곡에 파묻혀 그날이 그날 같은 ‘그날’은 어떤 날인가. 작품 속으로 들어가 보자. 그러면 거기 화면에서 벌레처럼 줄지어 기어 나오는 일상은 마네킹처럼 무관심이 지배하고 있는 나날이다. 사람들은 개미처럼 흩어져 서로를 할퀴고 있고 죽어나가는데도 무관심하고 있다. 사람들은 또한 주목받지 못한 채 바람에 찢겨진 깃발처럼 무의미한 기표로 펄럭이고 있다. 그리하여 그날, 그가 본 것은 아프고 다치고 죽음마저 아무렇지 않게 여기는 세상이다.

 

“모두 병들었는데 아무도 아프지 않았다.”

 

이성복, 그는 이렇게 이성이 마비된 사회에서는 아무도 아프거나 신음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아프게 찌르고 있다.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 라고.

그러나 어느날 우연히 풀섶 아래 돌쩌귀를 들치면 얼마나 많은 불개미들이 꼬물거리며 죽은 지렁이를 갉아 먹고 일어나 많은 하얀 개미 알들이 꿈꾸며 흙 한 점 묻지 않고 가지런히 놓여 있는지(이성복, ‘그러나 어느날 우연히’)

우연에 기댈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러나, 예기치 않은 곳에서 바람은 불어오고 골목이 끝나면 거기 그리운 얼굴, 네가 연분홍 진달래처럼 수줍은 모습을 하고 나를 기다리고 있을 지도 모르는 일이니...거기, 아침처럼 꺼지지 않는 생명의 바람버섯이 온전히 숨을 쉬고 있느니...그날!

 

1980년대 ‘시의 시대’를 이끌었던 선구자는 이성복 시인이었고, 이성복 시인은 한국문학사에서 새로운 신기원을 창출해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첫 번째는 가장 정교하고 세련된 언어였고, 두 번째는 한국사회에 대한 역사 철학적인 인식이었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자유자재롭고 거침없는 저격수의 문체로 모든 독자들의 혼을 빼앗아버리는 흡인력이라고 할 수가 있다. “사람이 사람을 사랑하면 죽일 수도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그날 태연한 나무들 위로 날아 오르는 것은 다 새가/ 아니었다,” “나는 보았다 잔디밭 잡초 뽑는 여인들이 자기/ 삶까지 솎아내는 것을, 집 허무는 사내들이 자기 하늘까지/ 무너뜨리는 것을 나는 보았다,” “새점 치는 노인과 변통의/ 다정함을 그날 몇 건의 교통사고로 몇 사람이/ 죽었고 그날 시내 술집과 여관은 여전히 붐볐지만/ 아무도 그날의 신음 소리를 듣지 못했다,” “모두들 병들었는데 아무도 아프지 않았다”라는 시구들은 가장 정교하고 세련된 언어의 예에 해당되고, 아버지와 여동생과 어머니와 시적 화자인 ‘나’와 역전의 창녀들과 부츠를 신은 멋진 여자와 잔디밭 잡초를 뽑는 여인들과 집 허무는 사내들과 새점 치는 노인 등의 사소한 일상생활들을 성찰한 끝에, “사람이 사람을 사랑하면 죽일 수도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모두들 병들었는데 아무도 아프지 않았다”라는 잠언과 경구들은 한국사회에 대한 역사 철학적인 인식의 예에 해당된다. 잠언과 경구는 가장 정교하고 세련된 언어이며, 모든 시인들과 모든 사상가들의 출세의 보증수표이자 영광의 월계관이라고 할 수가 있다. 잠언과 경구에는 수천 년의 역사와 전통이 담겨있고, 잠언과 경구에는 그 주체자의 역사 철학이 담겨 있으며, 잠언과 경구에는 그 잠언과 경구만큼이나 아름답고 멋진 신세계가 들어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7 미선나무 꽃 미선 나무 꽃 미선나무 아름답다기보다 향기롭단다 꽃이 없는 첫봄에 흰 쌀밥 같은 이 꽃을 공원 한 모퉁이에 소박하게 펴 어스름 역을 밝혀 관심을 주었는데 꽃 ... 들국화 2021.03.26 58
106 우리말로 상상하기 / 박수호 시 창작에서 펌 들국화 2021.02.25 131
» 그날 / 이성복 시 들국화 2021.02.21 572
104 이사온 토실이 이사온 토실이 전 토실인데요 전 좀 찝찝해요 우리 친구가 날 버렸어요 그래서 할아버지 집으로 왔어요 난 이제 여기서 귀여운 토실 이로 할머니 사랑받으면서 ... 들국화 2021.02.20 57
103 복사골부천 도서관 소식지 동화작가 강정규 선생님의 글을 보니 이렇게도 아기 마음이다 얼굴도 선하시고 그냥 읽고 넘기기는 좀 아까워 사진을 찍고 다른 독자랑 나눠보자 들국화 2021.02.19 47
102 너를 기다리는 동안 / 황지우 시 (박수호 시창작에서) 들국화 2021.02.16 306
101 봄을 기다리며 봄을 기다리며 봄을 기다리며 날씨 조금 푸근하니 한참 호들갑이다. 봄을 찾아서 빼꼼히 내민 구절초를 비적비적 거려 목 안에까지 찍어다 이제 봄이요 첫봄 입춘... 들국화 2021.01.30 63
100 시적인 것/김행숙 박수호 시 창작 카페에서 들국화 2021.01.28 624
99 아이러니와 역설 / 여태천 글을 박수호 시창작에서 복사 들국화 2021.01.22 36625
98 박수호 시 창작 좋은 시 감상에서 모셔옴 , 조용한 일 /김사인 시 박수호 글 조용한 일/김사인박수호 북마크기능 더보기 게시글 본문내용조용한 일/김사인 이도 저도 마땅치 않은 저녁 철이른 낙엽 하나 슬며시 곁에 내린다 그냥 있어볼 길... 들국화 2020.11.24 365
97 초보자가 범하기 쉬운 시 쓰기 오류 세 가지 초보자가 범하기 쉬운 오류 세 가지 박수호추천 0조회 720.10.31 10:51댓글 0 북마크기능 더보기 게시글 본문내용초보자가 범하기 쉬운 오류 세 가지 초보적인 오... 들국화 2020.11.03 294
96 발효라는 방식으로 / 권영희 시, 이병렬 읽음 들국화 2020.10.08 394
95 볕 바라기 햇살 좋은 날 볕 바라기 머리에서 발까지 볕이 들어온다 손을 무릎에 얹고 앞뒤로 엎었다가 뒤집었다가 손을 데운다 이렇게 조금 있었더니 무릎도 가슴도 데워진... 들국화 2020.10.08 97
94 칠석 칠석칠석 오늘은 음력 칠월 초엿새 내일이 칠석날이다. 견우직녀의 만남은 이뤄질까 지구는 온통 점령된 코로나가 기세를 부려 꼼짝달싹 못 하는데 하늘은 자유로... 들국화 2020.08.24 82
93 七月 七月 七月 벌써 이십 일이 넘어간다 이제나저제나 외식 한번 못 나가고 집밥만 축내는데 들려오는 얘긴 펜션을 빌려 휴일을 보내고 왔다느니 어디 가서 복날 백숙... 들국화 2020.07.22 80
92 시는 고칠수록 좋아진다/전기철 (박수호 시창작에서) 시는 고칠수록 좋아진다 퇴고推敲는 백 번 강조해도 모자라다. 최고의 퇴고는 마음 좋은 애인의 너그러움보다 신랄한 적의 심정으로 하는 게 좋다. 한 편의 시를... 들국화 2020.07.11 253
91 무엇을 쓰려고 하지 말라/ 가치불에 올렸던 글 복사해옴 들국화 2020.06.26 197
90 우리동네 길양이 새끼 길양이 우리 마을에는 양이가 많다 학교에도 살고 공원에서도 살고 그런데 오늘은 지붕에서 날 본다 양은 낮에는 잘 안 보인다 그래서 유심히 오래 확인을 ... 1 들국화 2020.06.23 152
89 우리 집 블루베리 처음 수확하던 날 우리 집 블루베리 처음 수확하던 날 이름이 고급스러워 좋아했다 외국 이름이면 뭔가 좋은 것일 거라는 기대감 처음으로 심고 꽃도 보고 푸른 열매도 봤는데 익... 들국화 2020.06.21 75
88 언니, 가을에는 시를 쓰세요 김옥순 시 들국화 2020.06.13 9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위로